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극J 블로그 - 리뷰리

[출산 로드 vol.22] 정부 지원 산후도우미 신청 가이드 (feat. 지원금 & 도우미 별개 신청) 본문

일상 정보/출산 및 육아

[출산 로드 vol.22] 정부 지원 산후도우미 신청 가이드 (feat. 지원금 & 도우미 별개 신청)

리뷰-리 2024. 6. 10. 18:49
반응형

정부 지원 산후도우미 신청 가이드

 

출산을 앞둔 임신 후기에 준비해야 하는 것 중 하나인 산후 도우미 신청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

먼저 기본적으로 알고 가셔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

정부 지원금 신청산후 도우미 신청 별개라는 것입니다

한마디로 각각 따로 신청해야 합니다

 

 

*정부 지원금 신청 기간 (feat. 산후 도우미 신청 별도)

출산 예정일 40일 전 ~ 출산 후 30일까지 신청 가능

(임신 16주 이후 발생한 사산·유산의 경우, 확인일로부터 30일 이내)

-지원금 사용 유효 기간 : 출산일로부터 60일

 

 

*지원금 지원 대상

-부부 건강보험료 합산 금액이 중위소득 150% 이하인 경우 지원

(지자체별로 선정기준이 상이하고 예외 지원 되는 곳도 있음)

 

 

*건강보험료 확인 방법

아래와 같이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에서 다음 순서로 금액 조회 가능

(로그인 - 메인 화면 '자주 찾는 서비스' - 보험료 계산기 - 나의 건강보험료 알아보기)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링크]

 

국민건강보험

 

www.nhis.or.kr

 

 

*부부 건강보험료 합산 계산법

-맞벌이의 경우, 부부 중 건강보험료가 낮은 쪽의 금액을 절반만 합산하여 계산

예시) 남편 16만 원 & 아내 8만 원   16만 원 + 4만 원 = 총 20만 원

태아 포함 3인 가구에 해당하며 아래 판정 기준표의 3인 건강보험료 본인 부담금 약 25만 원을 넘지 않음으로 150% 이하에 속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건강 보험료 150% 판정 기준표]

가구원 수 소득기준 건강보험료 본인부담금(원)
직장가입자 지역가입자 혼합
2인 5,524,000원 196,672원 146,739원 199,492원
3인 7,072,000원 251,147원 210,599원 255,837원

 

 

*정부 지원금 신청 방법 2가지

관할 보건소 방문 신청 or 복지로 홈페이지 온라인 신청

 

-보건소 신청 준비물

부부 모두의 신분증

임신확인서 or 출생증명서(임산부 등록이 되어 있다면 필요 X)

 

-복지로 온라인 신청 준비물 

임신확인서 or 출생증명서

가족관계 증명서 (대법원 전자가족관계 등록시스템 홈페이지 발급 가능)

건강보험증서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발급 가능, 맞벌이 부부 시 필요)

[대법원 전자가족관계 등록시스템 홈페이지 링크]

 

대한민국 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사이트 내 전체검색

efamily.scourt.go.kr

복지로 홈페이지에서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신청 진행

(복지로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신청하기 - 필요 서류 첨부 후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 링크]

 

https://www.bokjiro.go.kr/ssis-tbu/index.do

 

www.bokjiro.go.kr

신청 후 며칠 내로 보건소에서 메일, 전화, 문자 등으로 다음과 같이 판정등급 안내받음

 

*지원금 금액 (feat. 첫아이 기준)

나머지 자세한 금액 정보는 아래 홈페이지 설명 참조

-해당 지원 금액은 지역 관할 보건소로 문의하는 것이 가장 정확

-지원금은 국민행복카드 바우처로 지급 (산후 도우미가 단말기로 정부지원금 결제)

-정부 지원금 외에 나머지 금액은 도우미 업체에 따로 자기 부담금으로 결제

[사회 서비스 전자바우처 -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사업 내용 확인]

 

사업별소개 > 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사업 |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사업별소개 산모/신생아건강관리지원사업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주요사업을 소개합니다 산모신생아건강관리 지원사업 전문교육을 받은 산모ㆍ신생아 건강관리사 출산가정을 방문해 산모와

www.socialservice.or.kr:444

 

[정부 지원금 금액]

(금액 반올림)

 

 

*산후도우미 신청 기간

개별적으로 산후도우미 업체를 찾아서 연락하는 것이기 때문에 따로 신청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음

→정부 지원금보다 일찍 신청하여도 무관하며, 인기 도우미를 선약하려면 일찍 신청하는 것이 좋을지도

 


*산후도우미 업체 선정 및 이용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홈페이지를 통해서 관련 도우미 업체 조회 가능

(관할 보건소 홈페이지를 통해서도 업체 조회 가능)

품질평가 등급, 이용자 수, 인력 수, 평점 등을 비교 후 선택 가능

지역 맘 카페 등을 통해서 좋은 산후조리사를 추천받을 수도 있음

[사회 서비스 전자바우처 - 서비스 기관 검색]

 

서비스기관검색 > 제공기관 검색 | 사회서비스전자바우처

<!-- 사업구분 아이콘 목록                                     --> 총0건 검색되었습니다.(기관 명 가나다순) * 기저귀‧조제분유 판매점포 현황은 실제와 다를 수 있으니, 나들가게 홈

www.socialservice.or.kr:444

 

 

-맘에 드는 업체를 선택하여 연락하면 여러 가지 사항들을 확인 및 안내받습니다

아래와 같은 사항들을 미리 확인해 주면 좋습니다

거주지

출산 예정일

분만 종류

초산모 or 경산모

예약금

서비스 이용 기간 (보통 주말 제외하고 2주인 10일을 많이 선택 - 중간에 기간 연장은 쉽지 않음)

근무 시간 (대부분 9~18시 출퇴근 도우미 선택, 중간 휴게시간 1시간)

애완동물 & 홈캠 유무

업무 범위 (대부분 아기 케어 위주로 일하며 그 밖의 집안일들을 도와주심)

원하는 산후 도우미 경력 및 성향

산후 도우미 기본 접종 유무

지원금 바우처 사용 방법

중도해지, 도우미 변경 및 환불 안내

배상 책임 보험 가입 유무

 

-조리원 이동 후 바로 해당 도우미 업체에 연락하여 파견 일정을 확정합니다

(보통 퇴원 다음날부터 많이 이용)

 


이렇게 정부 지원 산후도우미 신청 과정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출산을 앞두고 계신 분들께서는 이 정보를 참고하시어 편안한 산후 회복과 육아를 누리시길 바랍니다

 

[임신 출산 육아 대백과 판매 링크]

 

임신 출산 육아 대백과 2023~2024 최신개정판

COUPANG

www.coupang.com

[출산 후 남편이 할 일]

 

[출산 로드 vol.23] 출산 후 남편이 해야할 일들 총 정리 (Feat. 조리원 퇴원 전까지)

출산 후 남편이 할 일 15가지이제 곧 출산을 앞두고 있어서 출산 후 할 일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최대한 긁어모은 정보입니다 아이가 태어나고, 또 감동하고, 사진이나 동영상도 찍고, 고생한

re-view-lee.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