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보려고 정리하는 극J 블로그 - 리뷰리

[출산 로드 vol.23] 출산 후 남편이 해야할 일들 총 정리 (Feat. 조리원 퇴원 전까지) 본문

일상 정보/출산 및 육아

[출산 로드 vol.23] 출산 후 남편이 해야할 일들 총 정리 (Feat. 조리원 퇴원 전까지)

리뷰-리 2024. 6. 11. 17:56
반응형

출산 후 남편이 할 일 15가지


이제 곧 출산을 앞두고 있어서 출산 후 할 일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최대한 긁어모은 정보입니다

 

아이가 태어나고, 또 감동하고, 사진이나 동영상도 찍고, 고생한 아내도 챙기고, 아이의 상태도 확인하고,

그렇게 정신없이 시간이 지나가겠죠?

하지만 우리에게는 아직도 할 일이 산더미랍니다... ㅎㅎ

 

 

1, 가족과 지인에게 연락하기 (Feat. 면회 시간 알리기)

병원마다 다른 면회 사항 등 확인하고, 주변에 출산 소식 알리기

-제왕절개 시 입퇴원 일정을 미리 알려주기

보통 수술 직후에는 산모의 상태가 좋지 않기 때문에 약 2틀 후(어느 정도 회복 후) 면회하는 것이 좋음

-자연분만 시 정확히 언제 출산할지 모르니 개인적으로는 출산 직후 연락드리는 것 권함

(이에 대해서는 아내와 미리 상의해 보세요)

(개인적으로는 미리 연락드리면 괜히 부모님들 걱정만 가중시키지 않나 싶네요...)

 

 

2, 조리원 연락하기 (Feat. 가슴관리)

-병원과 조리원이 하나로 연계되어 같이 있는 경우 별 신경 쓸 필요 X
-다른 조리원으로 이동 시, 퇴원 전 미리 연락하여 출산시기 및 퇴원시기 알리기

(출산일은 정확히 맞추기 어렵기 때문에 해당 시기에 따라 조리원의 상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조리원에서 미리 숙지할 사항들과 준비물 등을 미리 안내받음 (아래 블로그 내용 참조)

 

[출산 로드 vol.18] 산후조리원 준비물 챙기기 (feat. 출산 준비물, 출산 가방 리스트 다운로드)

출산 가방 챙기기 보통 출산 예정일 한 달 전후로 쌓아놓는다고 하는데요  임신 후기에는 언제 어떤 상황이 생길지 모르기 때문에 항시 대비하여 바로 가지고 나갈 수 있도록 좀 더 일찍 출산

re-view-lee.tistory.com

-산후조리원 비용 연말정산 세액공제 가능 (최대한도 출산 1회당 200만 원까지)

but, 국민행복카드 바우처 결제 시 세액공제 불가능!

Tip) 맞벌이 부부의 경우, 소득이 더 적은 사람 앞으로 잡는 것이 공제 금액 더 커짐!

 

-젖몸살 : 보통 출산 3~4일 후 모유가 차기 시작하면서 시작

(아내의 통증이 심하다면 조리원에서 바로가슴관리받을 수 있도록 요청해 두세요~)

수유 전 - 온찜질 / 수유 후 - 냉찜질

바로 관리받을 수 없는 상황이라면 남편이 따듯한 찜질용 핫팩 or 젖은 수건을 전자레인지에 너무 뜨겁지 않게 돌린 후 유두를 피해서 가슴 전체에 덮어서 찜질을 해주면 좋다고 합니다~

-퇴원 후에도 가슴 통증이 심한 경우, 마사지 등을 해주면 좋음

아래 유튜브 맘똑티비 영상이 도움 될 것 같습니다~

https://youtu.be/pFaWjfjLMOY?si=EPbR5WS6tVNAAQzG

 

 

3, 산후 도우미 서비스 예약하기 (=산모 신생아 건강관리 지원 서비스)

-조리원 이동 후 가능한 한 빨리 산후 도우미 업체에 연락하여 일정 잡기

-출산 다음 날부터 서비스받을 수 있으나, 조리원 이용 시 도우미 분의 출퇴근시간이 보통 오전 9시~오후 6시이기 때문에 퇴원 다음날부터 서비스받는 것이 좋음

-산후 도우미 지원금 신청 및 도우미 업체 선정 방법 등의 자세한 내용은 아래 글에서 참조해 주세요~

 

[출산 로드 vol.22] 정부 지원 산후도우미 신청 가이드 (feat. 지원금 & 도우미 별개 신청)

정부 지원 산후도우미 신청 가이드 출산을 앞둔 임신 후기에 준비해야 하는 것 중 하나인 산후 도우미 신청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먼저 기본적으로 알고 가셔야 하는 것이 있습니다정

re-view-lee.tistory.com

 

 

4, 기본적인 육아 방법 습득하기 (feat. 조리원 퇴원 전까지)

분유 타기, 기저귀 갈기, 모유 수유, 트림시키기 등 아내와 남편이 함께 배우는 것이 퇴원 후 조금이나마 서로 멘붕 할 가능성을 줄여 줄 겁니다

해당 정보는 유튜브 영상으로도 많으니 찾아보시면 좋겠네요~

개인적으로 맘똑티비 채널 추천합니다 (아래 링크 참조)

개인적으로 최신 임신 및 육아 정보를 가장 깔끔하게 정리해 놓은 곳 같아요

https://www.youtube.com/@smartmom_tv

 

 

5, BCG 예방접종 예약하기 (=결핵 예방 접종)

-생후 3-4주 이내, 체중 3kg 이상이라면 결핵 예방접종을 받아야 함

(보통 조리원 퇴원 후 1~2주 후)

-경피용(도장주사) & 피내용(불주사) 중 접종 방법을 선택

(아래와 같이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니 아내와 상의 후 결정하세요~)

 

①경피용(도장 주사)

유료 (약 7~8만 원)

보통예약 없이 소아과 등의 위탁의료기관에서 맞을 수 있음

경우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9개짜리 흉이 생기나 대부분 크면서 잘 안 보인다고 함

주사액을 피부에 바른 후 바늘로 찔러서 주입하는 방식으로 정확한 용량을 주입하기 힘듦

경피용(도장주사)

②피내용(불주사) 

무료

보건소일부 지정 위탁의료기관에 미리 예약 필요 

경우에 따라서 비교적 높은 확률로 아래와 같이 동그란 흉이 남음

어깨(삼각근 위치)에 정확한 양 주입 가능

(참고로 대부분 무료인 피내용을 선택합니다)

피내용(불주사)

 

지정 의료기관은 아래와 같이 예방접종 도우미 홈페이지에서 검색 가능

누르면 확대 가능

[질병 관리청 - 예방접종 도우미 홈페이지 링크]

 

예방접종도우미

국가 예방접종 지정의료기관 찾기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HPV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B형간염 주산기 감염 예방사업 인플루엔자 국가예방접종 지원사업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사업

nip.kdca.go.kr

 

 

 

6, 유축기 대여 신청하기 (feat. 필요시)

-젖몸살 완화과 원활한 모유수유를 위해서 유축기 사용은 필수

-대여 시 퇴원 후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신청하는 것이 좋음

관할 보건소에서  대여 가능 여부 및 소모품 지급 여부 등 미리 확인하고 신청해 두기

(자세한 사항은 해당 지역 관할 보건소 홈페이지를 참조해 보세요~)

 

-유축기 새로 구매 시 깔때기나 소모품을 미리 살균 소독하여 준비해 두면 바로 사용하기 좋음
[대표 유축기 구매 링크]

 

시밀레 프리티유축기

COUPANG

www.coupang.com

 

 

스펙트라

COUPANG

www.coupang.com

 


7, 어린이집 입소 신청하기

-입소 대기 신청은 총 3 군대까지 가능

실시간 대기 상태 확인가능 (인기가 많은 곳일수록 대기자 많음)

-입소 시기를 맞추기 어려울 수도 있으니 상황을 보고 반년 ~ 1년 정도 미리 신청하는 것을 권함

-점수에 따라 입소 순위가 달라짐

(해당 점수 내용은 아래 아이 사랑 홈페이지에서 참조 가능합니다~)

하기 홈페이지 안내에 따라서 신청 진행~

누르면 확대 가능

[아이사랑 홈페이지]

 

입소대기 신청 순서 > 입소대기 안내 > 입소대기 > 어린이집 >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어린이집 원장은 자동 연계되는 자격을 제외하고 부모로부터 입소관련 서류 일체를 받아 반드시 확인

www.childcare.go.kr

 

 

8, 자동차 보험 특약 신청하기

-보통 태아(임신 확인일)부터 만 6세 미만 영유아 자녀까지 보험료 할인 혜택 받음

그래서 출산 전부터 미리 신청가능

(혜택 기간 및 할인율은 보험사별로 조금씩 상이하니 자세한 사항은 해당 보험사에 문의해 보세요~)

-혹시 모르고 신청하지 않았다면 환급신청을 통해 해당 기간에 대한 할인 금액을 환급받을 수 있음

-개인적으로 보험사 비교를 해보고 싶다면 아래 홈페이지에서 가능합니다~

[보험사 비교 사이트]

 

온라인 보험슈퍼마켓

 

e-insmarket.or.kr

 

 

9, 출생 신고 및 각종 혜택 신청

-출생 신고는 출생 후 꼭 한 달(30일) 이내에 

신고 기한이 지나면 지연 기간에 따라서 정해진 과태료 납부

온/오프라인 모두 신고 가능

(온라인 신고는 참여 가능 병원만 가능하니 해당 병원에 문의해 보세요~)

신고 후 처리기간은 보통 약 1주일

-준비물 (출생증명서, 신분증, 아기 이름-한자 이름, 부모 등록기준지)

-등록기준지는 가족관계증명서를 보면 알 수 있음 (온라인 열람 가능)

 

-혹시 개인적으로 온라인 신고 가능 여부를 알고 싶다면 대법원 등록 홈페이지를 통해서 확인 가능

('인터넷 신고 - 출생' 항목에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병원 조회해 보세요~)

해당 병원이 검색된다면 온라인 신고 가능한 병원

누르면 확대 가능

[대법원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홈페이지 링크]

 

출산 병원(의료기관) 선택 | 출생신고 | 인터넷신고 | 전자가족관계등록시스템

출산 병원(의료기관) 선택

efamily.scourt.go.kr

 

-오프라인 신고는 구/시청에서 모두 가능하나 해당 주소지의 관할 주민센터에서 하는 것을 권함

구/시청은 신고 처리기간이 더 긴 편이고, 주민등록번호도 바로 안 나옴

주민센터 신고 시 각종 혜택들을 한 번에 신고하기 편함 (=출산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

(그래서 가능하다면 조리원 기간 중 남편이 방문하여 오프라인 신고하는 것을 권합니다~)

출산 신고 후 아이가 추가된 가족관계증명서도 사용할 일이 많으니 여러 장 발급받아놓는 것이 좋음

 

-각종 수당 신청 (feat. 출산 서비스 통합처리 신청서)

위에서 말한 주민센터 신고 시 출상 장려금, 첫 만남 이용권, 산후조리비 지원, 부모 급여, 아동수당 등

이렇게 많은 것들을 받을 수 있습니다 

통장 사본 필요할 수도 있으니 미리 문의 후 방문

해당 내용은 다음 글에서 자세히 정리하였으니 참조해 주세요~

 

[출산로드 vol.11] 2024 하남시 출산 혜택 총 정리(feat. 출산 후 해야하는 일들 10가지)

(경기도 하남시) 출산 후 해야 하는 일들 10가지  1, 출산 장려금-중앙 정부가 아닌 각 지자체에서 지원하는 사업으로 지역마다 내용이 다름-신청 대상 : 하남시 주소지로 전입 후  6개월 초과 거

re-view-lee.tistory.com

 

 

10, 신생아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 확인하기 (feat. 국민건강보험공단)

-출생신고 시 자동으로 신생아 건강보험 피부양자 등록이 되지만, 간혹 누락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확인 필요

-출생 후 1주일 이내에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전화하여 등록 확인 후 누락되었다면 바로 신청가능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 및 홈페이지]

연락처 1577-1000 (상담가능시간: 평일 오전 9시~18시)

 

이용안내 < 고객센터 < 기타 | 국민건강보험

상담가능시간: 평일 오전 9시~18시 셀프서비스는 24시간 이용가능(주말, 공휴일도 가능)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서비스별 상세 안내를 보실 수 있습니다.

www.nhis.or.kr

 

 

11, 태아 보험사 연락하기

출생 신고 후 태아보험을 들었던 보험사로 연락하여 변경할 사항이나 보장받을 내용 한 번에 처리하기

 

 

12, 배우자 출산 휴가 &  육아휴직 & 육아기 근로단축시간 신청 (Feat. 출산 급여)

-배우자 출산 휴가

현재까지는 10일간 유급 사용 가능

올 하반기부터 15일(주말 포함 최대 21일)로 확대되고, 3회에 걸쳐 분할 사용 가능할 예정

중소기업 출산 급여 지급도 5일 → 10일로 확대 예정

(갈수록 임신 관련 혜택은 커질 테니 그때그때 확인해 보세요~)

-육아휴직

만 8세 이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한 제도로 부모가 동시에 or 순차적으로 사용가능

(보통은 순차적으로 많이 사용)

아이 한 명당 최대 1년 사용 가능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사용 시 최대 1년 6개월까지 사용 가능

-육아기 근로단축시간

1년 이내로만 사용가능하나 육아휴직을 사용하지 않았다면 2~3년까지 사용 가능

주 5시간 이내 주 10시간 이내 100% 급여 지원으로 확대 예정

 

 

13, 소아과 정하기 (Feat. 주말 진찰 및 응급 병원 & 심야 약국 찾아두기)

-보통 다니던 산부인과에 있는 소아과를 많이 가지만, 거리가 있다면 근처 소아과 찾아두기 

주말이나 저녁 늦은 시간 또는 응급 시 바로 갈 수 있는 주변 병원을 평소에 미리 알아두기

24시간이나 밤늦게까지 하는 약국도 알아두면 좋음

(아기에게는 언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니 미리 알아두세요~)

①달빛 어린이 병원

-평일 심야, 주말, 공휴일에 만 18세 이하 환자에 대한 진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건복지부 지정 병원
-현재 전국 89개소 이상 지정되어 있는 전문 소아진료 병원

-대학병원 응급실보다 대기 시간이 짧고 진료비가 저렴하다는 장점!

-아래 홈페이지에서 가까운 해당 병원이 어디에 있는지 확인 가능합니다~

누르면 확대 가능

[달빛 어린이 병원 조회 홈페이지 링크]

 

MOONLIGHT | 달빛어린이병원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세종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www.e-gen.or.kr

Or, 응급의료정보제공 앱을 통해서도 병원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응급의료정보제공 어플 다운로드 링크]

 

응급의료정보제공 - Google Play 앱

응급의료정보제공, 병원안내, 약국안내, 진료병원, 명절(설, 추석)병원/약국, 연휴병원/약국, 응급처치, 자동심장충격기 등 정보 제공

play.google.com

 

②근처 휴일 진료 병원 & 늦은 시간 약국 찾기

명절이나 휴일에 아플 시 큰 일은 아니라면 아래에 응급의료포털 홈페이지에서 찾아보세요~

주소지와 원하는 병원 항목 선택 후 검색

약국 검색도 가능

(지도보다는 일반으로 검색하는 것이 더 보기 편합니다)

-혹시 현재 운영 중이라고 뜨더라도 가기 전 확인 연락은 꼭 해보시길 권합니다~

누르면 확대 가능

[응급의료포털 EGEN 홈페이지 링크]

 

병의원·약국 비상진료 검색-일반 | E-GEN통합홈페이지

병의원·약국 비상진료 검색 비상진료 병의원,약국 안내는 129·119에서도 확인 가능합니다. 비상 진료 병의원 정보는 관할보건소에서 제출한 자료입니다. 관련 문의사항은 관할 보건소로 연락하

www.e-gen.or.kr

 

-약국 찾기는 휴일 지킴이 약국 홈페이지에서도 조회 가능

[휴일 지킴이 약국 전문 검색 홈페이지 링크]

 

휴일지킴이약국 - pharm114

 

www.pharm114.or.kr

 

 

14, 영유아 가정 전기세 할인 신청

-3년(36개월) 미만 영유아 포함 가정 전기세 30% 감면 혜택(최대한도 월 16,000원)
(관리비에 전기세가 포함된 아파트의 경우 관리사무소에도 해당 사항을 알려놓으세요!)
-신청 방법 3가지

한국 전력공사 콜센터 123 or 한국전력공사 지사 방문 or 한국전력공사 온라인 신청 
먼저 스마트한전 어플 or 아파트 관리사무소를 통해 고객번호를 알아두고 신청해야 함

(개인적으로 전화 신청이 가장 간편할 듯합니다)

 

 

15, 퇴원 전 청소 및 필요 용품 소독해 두기 (feat. 아기 맞이할 준비)

-아내 퇴원 전 집안 & 아이방 대청소, 아이 침대, 아기 수전 설치, 트롤리, 홈캠 준비 등 해놓을 일 많음

(고생한 아내를 위해 센스 있는 남편 되기)

물론 센스 있는 아내분이라면 출산 전 웬만한 아기용품들은 미리 세탁해 놓았겠죠? 그쵸? 네?

-아기 용품, 유축기 깔때기, 젖병 등은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살균 소독해 두기

살균 방법 또한 아래 맘똑티비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https://youtu.be/1q1gkpAYmdM?si=bn_LUCmpaH34o0sU

 

 

출산은 부모에게 큰 기쁨과 동시에 새로운 도전이 되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를 순조롭게 보내기 위해서는 사전에 꼭 필요한 준비를 해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 블로그를 통해 출산 후 필수 체크리스트를 확인하고, 아기와 함께 행복한 시간을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제 본격적인 육아 시작입니다...

 

[임신 출산 육아 대백과 판매 링크]

 

임신 출산 육아 대백과 2023~2024 최신개정판

COUPANG

www.coupang.com

반응형